상품 주요특징 |
한글 |
도시근교 전원주택
도시 근교에 개발되는 전원주택 단지는 개발행위 허가를 통해 기존의 논이나 밭을 전용하여, 20%의 건폐율을 적용받는 경우가 다수이다. 이에 분할되는 대지는 100평에서 150평 사이를 형성하며, 주택의 건축면적은 20평(66㎡)에서 30평(99㎡)의 규모에서 3베이(bay)의 표준화된 주택들로 지어지고 있다. 단독주택이지만, 여전히 아파트를 많이 닮아 베이형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표준화된 전원주택들의 난립 속에서, 작은 목소리로나마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방형 매스를 선택하였다. 10.7x10.7m의 빛솔마루집은 정방형으로 단단한 벽돌벽을 두르고, 관입되는 외부공간을 통해 건축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했다. 이는 복제와 변이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새로운 유형으로 쉽게 전파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변화가 적은 재료인 벽돌은 외부인들에게 단단한 집의 이미지를 부여하지만, 변화하는 재료인 적삼목은 거주자가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장면 속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자연과 집을 하나의 장면으로 엮어 낸다. |
영문 |
Atypical Suburban House
In many cases, the housing complexes developed in the suburban areas are converted from the existing agricultural field through development permits and are subject to a building coverage ratio of 20%. On the divided land ranging between 300 m2 and 495 m2, the single-family houses are built in the scale from 66 m2 to 99 m2 at a standardized 3-bay plan. This trend follows a typical 3-bay apartment structure that is prominent in Korea. To escape from the trend and to express identity amid standardized houses, a square mass was chosen our single-family house.
The 10.7m X 10.7m square enclosed by a solid brick wall, Bit-Sol-Maru House uses the penetration of external space to control its building coverage ratio. This method allows cloning and mutation of space, which can be easily translated into a new type of space. A brick, an unchanging material, on the outside provides a robust image of the house, but a red cedar, a changing material, on the inside weaves the changing nature and the house together in the view of the resid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