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내역 | 2020년도 Winner | |
---|---|---|
접수번호 | K2020D03_00015 | |
출품부문 | 공간/환경 디자인 > 환경 디자인 | |
출품자명 | 박채영, 김보민 | |
출품자구분 | 학생 | |
출품명 | 달천극장 | |
상품 주요특징 | 한글 | 울산 달천철장은 2000년 동안 철을 생산하던 곳으로, 초기 철기시대의 역사성을 알 수 있는 우리나라 최고 철광석 유적지이다. 하지만, 활용방안의 문제점 및 개발로 인해 오랜 기간 축소되고 가려진 유적지는 역사적 가치가 낮아지게 되었다. 이에 유적지의 정체성을 살릴 과거 지형 흔적 분석을 하나의 요소로 활용하여, 달천철장의 기억과 흔적을 시각적 및 수직적 깊이의 변화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역사성과 상호교류의 장소적 특징을 가진 역사문화공간을 제안한다. 유적지의 주요 흔적인 등고선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침상공원(수직적 공간)으로, 지상층과 연계하여 지하층에 진입함으로써 역사의 '깊이감'을 이루는 유적지공원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이 공간은 지역주민들에게 새로운 역사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적지에 대한 관심과 주인의식을 가능하게 한다. |
영문 | Ulsan Dalcheon Steel Mill due to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of the utilization plan, the historical value that was shrunk and obscured for a long time became lower. Therefore, by using the analysis of past topographical traces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he historic site as a factor, a cultural space with historical and inter-exchanging place characteristics is propose by forming a space where the memories and traces of the Dalcheon Ironworks can be felt through changes in vertical depth. It was planned as a sunken park using contours, and a historic site park that entered the basement floor and achieved the depth of hi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