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이미지 고정
    상품 주요특징 입력폼
    수상내역 2020년도 Winner
    접수번호 K2020E01_00003
    출품부문 패션/텍스타일디자인 > 패션 디자인
    출품자명 이준한
    출품자구분 프로
    출품명 불규칙 패턴의 지사직물
    상품 주요특징 한글 조선시대에 쓰여진 ‘한경지략’에 의하면, 한지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기록을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노(纑, 노끈)를 지어 책을 묶거나 미투리라고 불리는 신발을 엮기도 하였으며, 의복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근래에도 지폐를 묶거나 서류를 철하는 데에 한지가 사용되지도 한다. 이러한 한지는 일반적인 종이에 비해 질기고 습기에 강하고, 가공공정에 따라 고유의 텍스츄어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사용하여, 한지를 불규칙하게 염색하고 꼬아 만든 한지사(漢紙絲)를 이용하여, 특수한 연사(spinning)를 통해 완초나 갈대 등의 식물을 제직한 듯한 천연의 멋을 강조한 직물을 기획하였다. 본 제품은 벽지나 쉐이드, 의자 등의 각종 업홀스테리에 사용이 가능하고, 특유의 내구성과 조습기능으로 실내 환경과 제품 사용 시에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영문 According to the "Hankyeongjigyeok"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hanji was used not only for recording purposes but also for tying books and weaving shoes called mitturi, as well as for making clothing from before the Goryeo Dynasty. Recently, Korean paper has been used to tie banknotes and file documents. These hanji are tough and moisture-resistant compared to ordinary paper, and may produce its own texture depending on the processing process. Using these features, a special spinning designed a fabric that emphasizes the natural beauty of plants, such as plants such as rush or reeds, through the use of Hanji-yarn, which was made by irregularly dyeing and twisting hanji. This product